본문 바로가기
산업정보

[산업정보] 기술거래마트 판매기술 목록 (2016.05) -기계/소재

by 윤지윤아 2016. 5. 17.

기술거래마트 판매기술 목록 (2016.05) -기계/소재 

기술을 도입코자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우수기술 보유 연구소/대학/기업의 기술을 중개함으로써 신제품의 조기출시, 시장선점, 연구개발비 절감 등의 효과 제공

단계

판매기술명

판매기술내용

기술거래형태

상품화

구리확산 방지막 제조방법

본 기술은 구리확산 방지막 제조 기술이다. 이리듐(Ir)전구체를 둘러싸고 있는 유기 리간드를 빠른 시간 내에
분해하고 증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유기 리간드를 일정시간 동안 제거하며, 이를 통해 비활성 가스를 확산시켜 구리확산 방지막을 생성한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불순물 및 염제거 효율이 높은 수처리 공정

본 기술은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원리를 이용한 수처리 공정에 있어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가스 하이드레이트 담수 생산 방식에서는 생산된 담수 혹은 기수를 가스 하이드레이트 표면 세척에 투입함으로써
담수의 수율 감소를 야기하여 경제성 및 생산성 저하를 가져왔다. 본 기술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여 불순물 및 염제거 효율 향상과 순수(pure water) 수량 보존 효과를 동시에 가져왔다. 본 기술은 해수 담수화, 폐수 처리, 기수 담수화, 수질 정화, 수중자원농축, 분리 공정 등의 수처리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하이브리드 접합 구조 밀폐공간 형성 구리부재 접합방법

본 기술은 접합구조의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구리부재 접합기술이다. 구리 재질로 만들
어진 한 쌍의 결합판 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시켜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기계, 전자 및 전기 장치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방열부재의 용도로 사용되며, 활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알루미늄 용접용 용가재

본 기술은 용접부의 강도를 높인 알루미늄 용접용 용가재이다. 본 알루미늄 용접용 용가재의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기지, 알루미늄 기지에 분포되는 칼슘계로 이루어진다. 본 알루미늄 용접용을 용가재를 이용할 경우,
우수한 연성으로 용접부의 높은 강도를 구현하면서도 크랙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기존 기술 대비
우수한 용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수상 부양식 선박용 세정장치

본 기술은 장치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수상 부양식 선박용 세정장치이다. 본 기술에 따른 세정장치는 해수
탱크로의 해수 유출입을 제어하고 양측에 장착된 풍선의 팽창을 통해 몸체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선박 세정
작업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수상 부양식 선박용 세정장치는 보다 쉽게 세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선박의 수명을 관리하는데 용이하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표면 질화 처리 장치

본 기술은 금속 표면 질화처리 장치 및 금속의 질화처리 방법이다. 금속 표면 질화처리 장치 및 금속의 질화
처리 방법을 통해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고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지는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이고 생산성 있는 공정을 통하여 연속식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우수한 내식성 마그네슘 소재 코팅용액 및 표면처리 방법

본 기술은 마그네슘 소재의 부식을 방지하는 마그네슘 소재의 코팅 용액 및 표면처리기술이다. 기존의 코팅
용액보다 향상된 내식성을 가지며, 환경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간단한 코팅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Al합금 주조재 마이크로 쇼트피닝 표면처리방법

본 기술은 AI 합금 주조재의 마이크로 쇼트피닝 표면처리 기술이다. 고특성 경량화 Al-Si 합금 주조부품재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조부품재의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향후 Al 합금 주조재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쇼트 피닝 기술이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표면합금층을 형성하는 비철금속재 제조 기술

본 기술은 표면합금층을 갖는 비철금속재 제조 기술이다.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모재의 표면으로부터 미세
결정립구조의 표면합금층을 생성시켜 금속표면의 물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모재의 표면결함을 낮추고 피로강도 및 표면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초발수 표면 제조방법

본 기술은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초발수 표면 기술이다. 초발수 랜덤 공중합체가 피복된 기재 및 초발수 성질이
뛰어난 초발수 물품 만드는데 기여 한다. 실리콘계 및 불소계 단량체와 탄화수소계 단량체의 라디칼 공중합
생성물을 용매를 이용한 중합체를 기재에 피복하여 물이 침투할 수 없는 초발수 표면을 생성시켜 건축물,
자동차, 안경 유리에 초발수 기능을 부여한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제품의 열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질화깊이 모니터링 방법

본 기술은 플라즈마질화 공정의 질화깊이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이다. 본 기술에 따르면, 최적의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표면의 온도를 에너지값으로 환산하여 질화깊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본 질화
깊이 모니터링 방법은 제품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제품 생산을 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선택적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한 비정질 금속 다공체 제조

본 기술은 선택적 용매 추출을 통한 비정질 금속 다공체로 산 용액에 비 용해성인 비정질 분말과 용해성
희생 입자를 이용하여 희생 입자에 대한 선택적 용매 추출이 가능토록 하였다. 본 비정질 금속 다공체는 비정질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넓은 표면적과 다양한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야금학적 공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실리콘

본 기술은 야금학적 공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실리콘 제조 기술이다. 규석광으로부터 금속급 실리콘(MGSi)
을 제조하고, 그 용융상태의 금속급 실리콘을 야금학적 공정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에 사용할 수 있는 실리
콘을 제조한다. 기존의 태양전지용 고순도 실리콘 제조방법을 개량하여 보다 경제적인 야금학적 기술을 이용
한 태양전지용 고순도 실리콘을 생산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표면의 성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빔/이온빔 피니싱 장치

본 기술은 전자빔 및 이온빔을 이용한 피니싱 장치이다. 본 기술에 따르면, 전자빔을 피처리물에 조사하고,
효율 향상을 위해 이온빔을 조사시키면, 전자빔에 의해 형성된 열에너지를 통해 표면을 피니싱 처리하며,
더불어 기계적 또는 수작업에 의한 피니싱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피니싱 장치는 친환경
적인 기술로 화학적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피처리물의 표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기존 제품 대비 활용
가치가 높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냉각 효율 높인 수냉식 방열 모터

본 기술은 수냉식 방열 모터 기술이다. 고정자의 코일과 코일 사이에 열전도성 몰딩부를 형성하여 열전달
면적을 넓혀 고정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하우징 측으로 빠르게 전달시킨다. 이를 통해 냉각효율을 높여 수냉식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원통형 스테인레스 부식방지용 초미세 구조물

본 기술은 스테인레스 내부에 초미세 구조물을 형성하여 원통형 스테인레스 내의 부식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원통형 스테인레스 내의 초미세 구조물은 초소수형 표면 구조를 지닌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물로 산화 등 부식에 영향을 주는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방지한다.
본 기술을 물 파이프, 자동차 및 오토바이 등에 적용하여 스테인레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허니콤 형상의 내부 구조를 가지는 금속부재 사출 성형방법

본 기술은 미세 금속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부재 사출 성형장치 및 금속부재 사출 성형방법이다. 허니콤
형상의 내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금속부재 사출 성형장치를 통해 외부의 압력 및 시간 경과에 따른 금속
부재의 파손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강판 열전달 촉진장치 및 방법

본 기술은 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중에 포함된 비등막의 기포를 쉽게 제거시키는 압연 및 열연 공정
에서의 강판 열전달 촉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강판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강판 표면에
형성된 비등막의 기포에 충격을 가하여 제거시키는 브러쉬롤이 강판 표면으로부터 냉각수 중에 포함된 비등막을 제거시키고, 강판에 대한 상대위치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주행성능 향상 전기 자동차

본 기술은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이다. 전륜과 후륜 각각에 대해 독립적인 구동모터를 통해 주행상태
및 도로상태에 따라 전륜 모터와 후륜 모터를 효율적으로 가동함으로써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텅스텐-카바이드 소결체

본 기술은 마찰교반접합에 사용되는 공구(툴)용 Co-free 텅스텐 카바이드-코발트 소결체이다. 본 기술에
따르면 다단계 및 후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진 기존공정을 단일공정으로 간소화하여 성능개선 및 공정단가를
절감함으로써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사용되는 고감도강용 공구의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이용하여 수명을 장기화시키고, 공구의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외부
물성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기술은 마찰교반 접합 공구에 국한되지 않고 가공용 공구, 내마모성
공구, 절삭공구 및 금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공연용 로봇 시스템

본 기술은 원활한 공연 진행이 가능한 공연용 로봇이다. 본 기술에 따르면, 두 개의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통신
부하율을 낮춤으로써 동작과 음성 출력을 일치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시에도 과부하,
혹은 로봇의 동작 지연 없이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원활한 공연 진행이 가능하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보행 보조 로봇 제어기구

본 기술은 보행 보조 로봇 제어용 클러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인이나 장애인이 보행 보조 로봇을 이용 시, 불안정한 로봇의 걸음걸이로 인해 지팡이, 목발 등의 보조기구 사용이 필요하다. 로봇과 연동될 수 있는 스마트한 보조장비를 제공함으로써 외골격 보행 보조 로봇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보행 보폭, 발 드는 높이 등의 의도를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사용자의 의도 정보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보행 패턴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석출분산형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본 기술은 석출분산형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제조 기술이다. 마그네슘, 주석, 망간에 아연 또는 알루미늄이
함유된 베이스합금에 은이 첨가된 마그네슘 합금이다. 석출분산형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은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하여 항공기 및 자동차의 동력계통 핵심 부품들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다이캐스팅용 고열전도도 합금

본 기술은 다이캐스팅용 고열전도도 Al-Mg-Fe-Si 합금 기술이다.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은
마그네슘(Mg) 1.0~2.0중량%, 철(Fe) 0.8~1.6중량% 및 실리콘(Si) 0.5~0.9중량% 및 알루미늄(Al)이 주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수한 주조성과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열전도로 인해, 방열
특성이 요구되는 각종 구조용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방열·주조성이 우수한 방열판용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기술

본 기술은 방열특성 및 주조성이 우수한 방열판용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기술로 주요 합금 원소는 0.01~0.5wt%의 Cu, 0.3~0.6wt%의 Fe및 1.0~2.0wt%의 Si을 포함하고 있다.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방열판은 방열성과 주조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 등의 방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고강도 고열전도도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본 기술은 고강도 고열전도도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알루미늄에 아연, 마그네슘,구리, 지르코늄, 티타늄 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인장강도 350MPa, 열전도도 130W/mK 이상의 특성을
갖는 합금 소재로서, 특히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합금은 우수한 인장 강도와 열전도도를 요구하는 자동차, 전기, 전자, 정보, 통신용 다이캐스팅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공장 자동화 및 공정속도 개선

본 기술은 페트리넷과 기계 학습에 의하여 학습된 패턴 또는 유사 패턴을 활용한 발사 추천기를 이용하여 해를 구하는 최적화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다종소재 3D 나노프린팅 기술

본 기술은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그래핀, 금속 등의 다양한 소재를 출력해 고정밀 (수백 나노미터급) 3차원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는 다종소재 3D 나노프린팅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다양한 종류의 나노소재를 잉크화하여 스마트 전자소자용 3차원 나노패턴 인쇄 가능
2. 기존 기술대비 우수한 수백 나노미터급의 해상도로 3차원 기능성 구조물 제작 가능
3. 프린팅 공정이 간단하여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플라스틱 3D 프린터와 융합 가능
4. 세계최초로 자유지지(Freestanding) 그래핀 나노와이를 제작 기술 개발
5. 세계최초로 전기도금법기반 금속 3D 프린팅 기술 개발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비열처리형 고전도 고강도 AL합금 제조기술

본 기술은 비열처리 공정으로 제조한 Al합금 소재에 관한 것으로 전기전도특성이 뛰어나면서 동시에 고강도특성을 보유하였고, 송전손실을 최소화한 가공송전선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내열성과 고전도특성 동시 보유
2. 비열처리 제조 공정에 의한 생산원가 30%이상 절감, 생산성 300% 이상 증대
3. 비자성 강선 및 압축형 도체의 적용에 따른 전력손실 저감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본 기술은 충전스탠드와 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충전관리시스템을 결합시킴으로써 공동주택단지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은 물론 전체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고, 웹(Web)을 이용하여 각종 관련 통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V2G 분야에 활용 가능
2. 충전기 화면에 표시되는 충전 정보를 직접 확인하고 조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성과 효율성을 제공
3. 특정 충전기의 현재 상태 전송 요구와 단순 제어 가능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공진구동형 리니어 엑츄에이터 기술

본 기술은 스프링과 질량사이의 기계적 공진구동을 적용한 고속 구동형 선형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의 관성력을 스프링의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구동효율을 높인 기술임.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선형액추에이터의 구동부의 관성력으로 인한 손실 감소
2. 60/30[W]급 횡자속/종자속 선형전동기 적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스핀들 모터 시스템 기술

본 기술은 워크(가공물)의 고속·정밀가공을 담당하는 스핀들 전동기와 제어드라이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존 제품보다 효율과 역률을 개선하여 성능을 확보함.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용량 7.5kW, 최대속도 10,000rpm급 스핀들전동기
2. 선진제품 대비 효율·역률 개선(+1.4%↑, +6.4%↑)
3. 고속 동다이캐스팅 및 동 브레이징 기술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영구자석 저감형 정밀위치 선형전동기

본 기술은 중간전극(consequent pole) 구조의 고정자를 적용해 영구자석 사용량을 절감한 선형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자계 불평형 저감을 위한 이동자 구조를 적용하여 추력 맥동을 저감하고 궁극적으로 정밀위치제어가 가능케 함.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영구자석 총량 40% 절감하면서도 상용 제품과 대등한 성능 구현
2. 낮은 추력과속도 맥동으로 저진동/저소음 운전
3. 정밀위치제어
4. 다극 구조의 저속 고토크 직접 구동 전동기로 구현 가능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위치 제어용 마그네트 센서 기술

본 기술은 저비용으로 장거리 이송시 위치 검출이 가능한 마그네트 센서에 관한 것임. 선형 이송시스템에서 위치 검출을 위해서는 고가의 선형엔코더가 사용되는데 움직이는 거리만큼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적 부담이 큼. 본 기술을 이용해 기존 리니어 엔코더에 비해 비용 절감 가능.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이송거리에 관계없이 위치 검출 가능
2,. 리니어 엔코더에 비해 대폭적인 비용 절감 효과
3. 최대 8192 pulse/pole의 해상도가 가능
4. 제작 및 설치 용이
5. 치 구조 고정자의 선형전동기 등에 적용 가능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자기부상컨베이어 기술을 이용한 초정밀 자기부상 물류이송장치

본 기술은 FPD(Flat Panel Display) 진공 공정용 초정밀 자동 물류이송장치의 일종인 자기부상 컨베이어(EMC)에 관한 것으로 자기부상 선형베어링이 부상을 제공하고, 안내 일체형 선형추진 전동기가 안내와 추진을 제공하여, 공정 구간의 전체 레일에 대해서 안정적인 비접촉 서보제어 특성을 보장하는 획기적인 물류이송장치임.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흡인식 자기부상을 사용하여 진공 중에서 고중량의 캐리어 지지
2. 멀티 자기부상 전자석 모듈을 제작하여 전체 레일에 따라 지지 가능
3. 부상 및 섹션절환 알고리즘을 적용한 지지 안정성 & 서보제어 능력
4. 이동체 발열 방지
5. 이동 중 안내력 및 능동정렬 기능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전기자동차용 전동기 및 인버터

본 기술은 전기자동차용의 추진핵심 모듈인 최대 60kW급 인버터 및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준중형급 전기자동차를 위한 유도전동기, IPM 전동기, 제어기 및 컨버터를 단일 시스템화 하여 공급함으로써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해 주행 성능을 개선함.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최대 60kW, 9,000rpm급 유도전동기 전동기, 매입형 동기전동기(IPM) 전동기
2. 고정자 코어를 공용화하여 원가절감 실현
3. 60kW 전기자동차용 인버터 개발 - 유도전동기, IPM 전동기 동시제어
4. 30kW급 양방향 승압형 컨버터 개발로 주행 성능 개선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초고속 회전기(전동기/발전기)설계기술

본 기술은 모든 용량과 속도범위에서 상업화가 가능한 고속 영구자석 전동기/발전기 시스템 개발기술과 고속 회전기의 전자계/구조 설계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에너지 절감(시스템효율 10% 이상 향상)
2. 공간 효율성 향상(시스템 설치공간 1/5 이하로 감소)
3. 시스템 단순화로 유지보수 개선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상품화

차량용 블랙박스 거치 및 조명장치

차량 내부에 외장형 기기 거치 시에 필요한 거치 장치 및 조명에 관한 기술임

권리양도,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마이크로파 이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물질 제거장치

마이크로파에 의한 세라믹 가열특성을 이용한 장치로, 세라믹튜브, 마이크로파 발생장치, 열교환기, 순환팬으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세라믹 튜브와 튜브 내의 충진제를 발열시키는 형태이다. 배관을 통해 유입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악취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발열된 세라믹 튜브를 통과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악취물질이 발열된 충진제와 접촉하여 제거되는 원리이다.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풀타임 축열 연소식 단일 라디안트 튜브 버너

라디안트 튜브 타입의 버너, 축열부, 흡배기 절환장치로 구성되어 버너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 열을 축열시켜 흡입 연소공기의 예열에 사용되는 형태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연료 예열 겸용 배가스 재순환 부분 예혼합형 축열식 순산소 연소장치

산소와 연료를 부분 예혼합하여 연소성과 화염 안정성이 뛰어나며, 산소와 연료에 고온의 연소 습배가스
를 각각 재순환 혼합하여 예열효과를 갖게 하면서 연소 배가스 재순환 혼입량에 따라 화염온도를 제어할
수 있음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 덕트

기체가 공급되는 유입부 및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부와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돼서 기체를 유동시키
는 유동팬과 유동팬의 후단에 설치돼서 유동하는 기체로부터 수분을 선택 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가지는 제습기 및 기액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습 덕트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광섬유 혼합 부직포 공기정화용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등과 같은 가스상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광촉매 산화기술 또는 자외선 직접조사 기술을 적용하여 흡착제에 흡착된 VOCs를 분해한다.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고성능 탈진장치를 구비한 여과집진장치

탈진 시에 송풍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청정가스 또는 집진장치 외부의 공기를 탈진실로 유입시켜, 충격기류 탈진을 할 때 노즐을 통한 압축가스의 고속분사로 인해 집진필터 내부로 유도되는 주변 공기의 유인 효과를 극대화시킴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싸이클론 집진장치

분진 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된 함진 가스 내 분진을 관성력과 원심력 집진원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싸이클론 집진장치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기술은 고탄성 에틸렌계 삼원 공중합체를 주사슬로 하고 기능성을 부여하는 고기능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파일럿

전자빔/이온빔 피니싱 장치

전자빔을 피처리물에 조사하고, 효율  향상을 위해 이온빔을 조사시키면, 전자빔에 의해 형성된 열에너지를 통해 표면을 피니싱 처리하며, 더불어 기계적 또는 수작업에 의한 피니싱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가능

 

실험실

나노선과 나노튜브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접착제

전도성 나노접착제의 개발은 종래의 일회성 접착에서 벗어나 영구적으로 반복할 수 있는 접착을수행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을 연결함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티탄산 바륨 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실제 제조할 수 없었던 50 nm 이하의 크기 (입자 직경)를 갖는 티탄산 바륨 나노입자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지르코니아 나노 분말 합성방법

정방형 지르코니아 다결정체(3Y-TZP)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르코니아 나노 분말 합성방법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초고속 레이저를 이용한 초발수성 표면개질 방법  

PDMS 등 기판에 나노 사이즈 및 마이크로사이즈의 미세구조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표면층을 마이크론 크기의 분해능 하에서 그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며 만들 수 있는 초고속 레이저 공정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나노급 높이 및 두께 측정장치

게이지 블록의 자동 이송을 통한 자동측정이 가능하고 일련의 측정과정이 컴퓨터에서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빠른 측정이 가능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고정밀 실리콘 유량센서

전기저항이 작은 우수한 감지체 재료(Bi-Sb, chromel-alumel)를 사용하여 고정밀 유량센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 실제 설계제작 하고 특성을 평가하여 고정밀 1-D 유량센서 및 2-D 유량센서에 적용가능 함을 보임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알루미나 세라믹 볼 베어링 제조기술

고속회전으로 발생하는 고온에 대한 내열성 및 내식성, 내구성이 향상된 알루미나 세라믹 볼 베어링과
볼 제조용 몰드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기술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열전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류제어방법

열전박막의 에너지변환 현상을 토대로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 소자인 열전박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류 제어 방법

권리양도,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마이크로 밀링응용 Surface Texturing모듈 기술

마이크로 밀링등을 이용하여 표면 텍스처링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모듈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굴삭기의 파킹브레이크 3Way밸브로 방향을 절환한 후 적은 유량을 공급하여 파킹브레이크를 간단하게 해제하는 기술

공동연구

실험실

분진과 진동이 없어 고청정 제품생산이 용이한 기판이송장치

자기부상 기술을 적용하여  분진과 진동 없이 트레이를 이송함으로서 AMOLED TV와 같이 고청정 생산을 요하는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기판이송장치 제작기술

공동연구

실험실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건설기계에 장착된 오일탱크에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틸팅(tilting)리턴 라인을 오일속에 함유된 공기와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 기술

공동연구

실험실

수직로터용 밸런서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기

볼이 저장된 밸런싱 공간내에 바닥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부에 변곡부를 설치하여 공진속도 이상에서만 작동하도록 설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상품화

진동자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극초단 펄스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투명재료(사파이어, 유리)절단 공정기술 및 가공장치

펨토초 레이저의 재료에 상관없이 가공이 가능한 재료 무의존적인 특징과 집속렌즈가 결합된 진동자를 이용하여 빠른 초점위치의 변화를 이용한 Cutting공정에 대한 기술임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AMOLED TV비열 리페어 공정기술 및 리페어장치

극초단 펄스 레이저 기반 AMOLED TV비열 리페어 공정기술 및 리페어 장치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극초미세형상 패터닝이 가능한 고온엠보싱 장비기술

6인치이하 크기의 기판에 나노-마이크로 수준의 극초미세 형상을 패터닝할 수 있는 장비기술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양팔로봇의 직접교시 방법

양팔로봇의 팔을 교시자가 잡고 직접 교시하는 방법으로 티칭펜던트보다 직관적이고 빠른 방법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투명기판의 레이저 가공 속도와 효율을 높이는 다중빔 분기 기술

투명기판의 내부에 레이저 다중 집속 빔을 생성하여 단일 집속빔의 초점 심도보다 두꺼운 기판을 한번에 절단하거나 고종횡비의 미세 천공을 가능하게 함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LCoS기반 다중빔을 이용한 고속 레이저 가공공정

실시간으로 회절패턴을 구현하는 LCoS 소자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을 5개 이상으로 분기시킨 후 재료에 고속가공하는 공정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스캐너를 활용한 대면적의 연속 레이저 가공을 위한 on-the-fly 시스템

스캐너와 스테이지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대면적 가공시 연속적으로 고속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단이나 페터닝의 품질이 균일하고, 가공시간을 평균 20%단축하는 효과가 있음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캡슐형 가변축 복합 가공 장치

회전운동이 극대화된 기구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다양한 가공(레이저, 밀링, 및 연삭가공 등)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캡슐형 가변축 복합가공장치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Surface Texturing적용 Eco/Bio부품 및 기술

표면에 미세한 페턴을 생성시킨 부품을 통하여, 마찰력의 감소, 세포 및 바이러스 관련 특성 개선, 광학적 성능의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나노기술을 이용한 극친수/극소수 구조물 상업화 기술

마이크로 나노 구조의 연잎효과를 지니는 표면을 3차원 구조에 적용한 기술

 

실험실

냉각장치용 초소형 압축기 개발

기존에는 소형에 1000 :1이상의 고감속 구동이 불가능했고, 냉공조 압축기는 무겁고 부피가 크며 기울여서 사용이 불가능했으나 본 기술은 이를 극복할 수 있게하는 냉매압축이 가능한 신형 초소형 압축기에 관한 기술임
 

 

실험실

고방열성 고분자 복합재료

하이브리드 필러 시스템으로, Pre-perclation조건에서 포논 네크워크를 형성하여 나노 카본계의 경우 2~10w/mk의 열전도성도 달성이 가능함

 

파일럿

안내용 로봇

- 안내용 로봇 유압발생장치(이하 ‘본 기술’)”는 모터의 구동력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기술로, 로봇관절 또는 로봇 암(arm) 등의 제어를 위해 안출된 기술임
- 기술소개 동영상이 동영상 자료실에 수록되어 있음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전자재료용 나노분말 기상제조기술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상합성법을 통하여 나노분말을 제조함과 동시에 나노분말을 용액 내 분산시킴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실험실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트립캐스팅 냉각롤

냉각 채널과 엔드 플레이트의 이음 부위에 저온 분사를 통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완전한 밀폐를 구현함으로써 냉각롤의 제작 또는 사용 중 발생되는 균열을 미연에 방지

 

파일럿

스퍼터링에 의한 알루미늄의 피막형성방법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알루미늄과 산화 알루미늄을 다층으로 코팅함으로써 알루미늄 피막의 조직을 제어하고 경도를 높임

 

상품화

조명용히트싱크

열전달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조명용 히트싱크

 

실험실

내식내마모성 철계 합금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티탄 합금 스크랩을 이용하므로 제조단가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며, 자원 재활용에 따른 친환경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내식내마모성 철계합금

 

실험실

나노기술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

나노기술을 이용한 수처리기술_탄소나노튜브를 도입하여 지지체의 수투과(Permeability) 거동을 높임

 

상품화

다중 복합 사이클론 집진기

분진등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2단의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깨끗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다중 사이클론 복합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권리양도,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다중사이클론 집진기

분진등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2단의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깨끗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다중 사이클론 복합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권리양도,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실험실

판금(sheet metal)성형(프라운호퍼)

Fraunhofer IWU는 판금(sheet metal)성형 전분야의 독일 연구기관임. 특히 원자재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고객사의 기존 판금성형 기술 및 공정 개선을 위한 컨설팅이나 개선기술 구현을 위한 수탁연구 진행.  1. 판금 성형의 공정 및 투입기술 설계 2. 특수 소재의 판금성형 혹은 관련 공정기술 3. 유압성형, 가스성형, 전자기성형 4. 접합기술(기계, 열처리, 화학, 유압) 5. 성형 시뮬레이션 6. 기술개발 대행, 프로토타입, 소규모 생산

 

파일럿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미세 그리퍼(Gripper)

미세한 힘에의해 실리콘이 변형되는 정도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보정(Calibration)함으로써 로봇의 팔, 다리, 관절등에 활용될 수 있음

 

파일럿

이온빔 발생장치

음극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자기장의 세기 분포를 제어할 수 있고, 음극과 전자의 충돌을 최소화, 이온빔의 퍼짐현상 감소 및 밀도향상이 가능함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고특성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내산화성을 향상시켜서 대기중이나 일반적인 불활성분위기(Ar, N2)에서도 용해가 가능하게 하고, 발화특성을 향상시켜 부품의 기계가공 후 쌓이는 칩(chip)의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게 하여, 광범위한 부품의 재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난연성(難燃性) 마그네슘합금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습식공정을 이용한 포러스 세라믹 제조 기술

세라믹 변환 가능한 무기고분자(폴리실록 산 등)을 이용한 소성법으로 밀도 1이하의 다양한 마이크로 셀룰러 세라믹 제조  등 새로운 기공 제어기술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폐쇄 단조기술을 이용한 고정밀 임펠러 제조 기술

폐쇄 단조 기술을 이용한 고정밀 임펠러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할 금형을 통해 임펠러가 단조(forging)로 성형 가능하도록 하여 치수 정밀도가 높고 대량 생산이 가능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플라스틱 사출용 자연무늬 전주금형 기술

자연에서 존재하는 생물이나 무생물의 표면을 전주도금 공정에 의해 정밀하게 복제하고, 복제된 자연무늬를 사출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초윤활 내마모 나노 박막

고분자 표면에 탄소 나노박막(DLC)을 증착하여 고분자 표면에 나노 엠보(embossing)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 탄소 나노 엠보패턴 표면을 갖는 고분자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소재

 

실험실

양극산화법에 의한 Tio2 나노튜브 및 나노가공의 형성 기술 

양극산화 시간과 전압, 전해질의 종류 및 농도를 조절하여 수용액 전해질에서 양극산화에 의해 산화 티타늄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나노튜브의 접착강도 및 결정 구조 제어방법

 

실험실

자동차 변속기용 헬리컬 기어 제조를 위한 정밀단조 기술 

자동차 변속기용 헬리컬기어의 정밀단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형제작이 단순하며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자동차 변속기용 헬리컬기어의 정밀단조(정형가공)방법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생체의료용 형상기억합금초탄성합금 및 극세선 개발 

본 기술은 VRA Skull/VAR 용해공정을 활용한 고청정 300mm급 NiTi 잉고트 개발 및 열간성형공정에 의한 NiTi합금와이어로드(wire rod) 개발 그리고, 극세 신선공정을 통한 0.1nm급 NiTi 형상기억합금 극세선 개발에 관한 것임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나노와이어 형성 기술(다공성 재료 표면/기공)

다양한 다공성 재료의 표면은 물론 그 내부의 기공에 이르기까지 높은 밀도로 나노와이어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상품화

영상 인식기반 FCW, LDW 상용화 기술

● 상기 기술은 주행 중, 운전자 부주의 및 졸음운전 시 경고 또는 조향제어를 통해 차선이탈을 경고 및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현재 자동차 고급차종을 기반으로 이탈경고시스템(LDWS)는 적용 중이며, 조향제어를 통한 능동제어인 경우에는 양산적용 추진 중인 기술임
● 본 기술은 단일 카메라기반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방의 차량을 인지하고, 인지된 차량과의 거리를 예측하여, 차간거리가 감소하는 상태를 인지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FCW, LDW 제품을 국산화하기 위한 상용화 기술임

 

상품화

초소형 부품 및 바이오 셀 조작용 마이크로 그리퍼 기술

● 마이크로 그리퍼는 MEMS기술을 이용하여 정밀 제조 및 바이오의료 산업에서 초소형 부품들을 고정밀 조립 및 위치 제어하거나,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세포 및 미생물들을 정밀 조작할 수 있는 기구임
● 마이크로 그리퍼는 구동 방식에 따라 열(Thermal), 정전(Electrostatics), 압전(Piezoelectric), 공압(Pneumatic), 혼합(Hybrid)로 구분
● 전자부품연구원의 초소형 부품 및 바이오 셀 조작용 마이크로 그리퍼 기술은 정전과 압전에 의한 혼합방식을 활용하며 그리퍼의 제조, 그립기능 향상 및 구조, 유체 및 공기압의 활용 등에 대한 기술을 제공

 

파일럿

KETI-CAM : 로봇용 스마트카메라 기술 

● 지능형 로봇에서 다양한 로봇 비전(Robot Vision)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고가의 컴퓨터를 활용해야하는 부품 비용의 한계로 인하여 저가형 로봇시장 또는 교육용 로봇 시장에서 상용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음
● 이를 극복하고 저가의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비전알고리즘 처리가 가능한 Stand-Alone 방식의 로봇용 비전인식 알고리즘 스마트카메라 모듈 및 S/W프레임웍 기술

 

파일럿

외경 4mm급 스테핑 모터 기술

● 디지털 정보기기의 지속적 수요증가에 따른 광학 디바이스(Optic device) 및 정보 입출력 모듈 등의 위치결정구동용 클로-폴을 갖는 PM형 스테핑 모터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음
● 스테핑모터는 입력 주파수에 동기하여 회전함으로 오픈 루프 제어가 가능하고 高에너지적을 갖는 영구자석을 회전자로 사용함으로 정지시 높은 유지력을 가질 수 있어 위치결정용 모터로써의 장점이 매우 높음
● 클로-폴을 갖는 PM형 스테핑 모터의 사이즈 성능지표는 응용기기의 기술적 성능을 좌우할 수 있음으로 최근들어 소형●高토크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구조적 복잡성 등에 따른 제약으로 세계적으로 일본에서만 외경 4mm급 모터만 개발보고 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외경 6mm급 이하의 제품은 전무함
● 전자부품연구원에서는 휴대전화기를 포함한 각종 정보기기의 광학모듈 위치결정 구동용 외경 4mm급 모터 기술로, 종래 소형화의 난점을 극복한 독자적 구조의 PM형 스테핑 모터 기술을 개발하였음

 

상품화

2mm급 극소형 모터와 센서리스 제어기 기술

● 극소형 모터는 소형 모터 중에서도 특히 출력이 작은 것을 지칭하며 보통 출력 3W 미만의 모터를 극소형 모터로 분류하며 출력 1mW~1W의 모터를 mW모터, 1mW 미만의 모터를 마이크로와트(μW) 모터로 세분화하여 정함
● 초소형(극소형) 모터의 적용분야로서는 각종 정보기기, 최근의 카메라 부착 핸드폰의 광학줌을 위한 구동모터, 휴대정보기기 연료전지내의 펌프용 모터, 인체삽입 내시경, 마이크로 펌프, 마이크로 로봇 등을 들 수 있으며, 소형화 및 모바일화 등의 기술트렌드에 따라 모터의 고속, 고정밀화와 함께 소형, 박형화가 요구되어 지고 있음
● 전자부품연구원에서는 BLDC(Brushless DC electric motor) 방식의 외경 2mm 크기의 극소형 모터, 이와 함께 부착되어 작동하는 외경 2mm 크기의 유성치차형 감속기 및 극소형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리스 제어기 기술을 개발하였음
● BLDC 모터는 DC모터에 존재하는 기계적인 브러시와 정류자를 반도체 소자에 의한 구동방식으로 대체한 모터로서, 전자산업이 발전과 함께 영상, 음향기기에 채용된 이후 지속적인 기술적 발전중임
● 최근 기능성 및 수명의 향상을 위하여 브러시형 보다는 BLDC형으로의 기술개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임

 

파일럿

다중카메라 기반 고속 영상인식 SoC 플랫폼 기술

● 지능형 자동차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도로상의 객체를 검지, 인식하고 경보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머신비젼 센서의 장착이 크게 확산되고 있음
● 도로상의 객체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한 머신비젼 센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영상인식 처리를 요구하므로 고속의 병렬형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SoC(System on Chip)를 기반으로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있음
● 다중카메라 기반 고속 영상인식 SoC 플랫폼 기술은 차량에 장착된 다중의카메라(4개)로 부터 입력된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상황을 자동적으로 인식, 분석 함으로써 영상기반의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SoC 기반의 고속 임베디드 비전 인식 프로세싱용 플랫폼임
● 개발된 다중카메라 기반 고속 영상인식 SoC 플랫폼은 고속 영상인식 처리 엔진이 탑재된 SoC를 통해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도로 영상에서 차량, 보행자, 차선을 실시간으로 인식, 처리하는 SoC,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임

 

파일럿

황산화물 동시제거 기능 연소가스 응축장치

­- 응축과 황산화물 제거를 하나의 공정으로 묶고 응축수를 공정수로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폐수발생을 억제하고 해수를 사용함으로써 용수 및 에너지 사용을 1/10이하로 감소
­- 응축수를 이용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함으로써 별도의 폐수 발생이 없고 폐수처리 공정이 불필요

 

상품화

롤 임프린트 장비

­- 롤-투-롤 방식으로 미세패턴을 유연성 기판에 직접 각인으로 공정단계가 획기적으로 감소
­- 유연성 금속 스템프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및 나노크기의 패턴을 자유롭게 각인 가능
­- 열 및 압력 가압롤을 사용하여 높은 각인율이 가능
­- 기존 인쇄 및 각인공정에 의한 패턴닝 보다 선폭의 형상이 균일함 (광학적 특성이 우수함)

 

파일럿

단결정 반도체 박막을 이용한 고성능 유연전자소자 대량생산기술

- 어떤 유기물 반도체보다 특성이 우수한 단결정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III-V족 화합물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유연 전자 소자 구현 가능
- 유기물 소자보다, 습도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stability)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매우 뛰어남
- 기존에 평면형 스탬프로 반도체 박막을 유연 모재에 전사(transfer)하는 기술에 비하여, 롤 스탬프를 이용한 연속적인 고속 전사가 가능함

 

파일럿

고속인쇄 가능한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의 전자소자 제조기술

­- 다층구조의 인쇄전자를 일관적으로 중첩인쇄(캐퍼시터,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선폭을 가진 다층 구조의 미세한 전자회로 패턴을 롤투롤의 적층 중첩인쇄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음)
-­ 패드인쇄방식의 소프트한 실리콘고무가 도포된 인쇄실린더가 그라비어실린더로부터 미세패턴을 전이 받아 낮은 접촉압력으로 100퍼센트 피인쇄체 웹에 그대로 전이 인쇄하는 독특한 전이방식은 3차원 잉크층 형성의 장점을 발휘함

 

파일럿

미세방전공극을 형성하는 평판형 고농도 및 고순도 오존생성장치

­- 고농도 오존생성 특성 (고효율로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고농도의 오존을 얻기 위한 조건인 환산전계강도를 높이기 위해 방전공극을 극단적으로 미세하게 형성하여 방전공간 내 가스밀도를 높이는 방전구조 설계와 고농도 오존생성을 위한 고주파수/저전압 방식의 전원공급장치 설계가 본 기술의 핵심임)
­- 장치의 Footprint 최소화(오존생성을 위한 방전관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오존생성량에 따라 적층 및 확장 가능구조로 설계하여 반도체장비 개발의 주요 요소인 클린룸내의 장치 점유면적 최소화에 대응)

 

파일럿

입자크기 10㎛ 미세분말용 고 분해능 디스펜서

­- 메탈 필터와 진공에 의한 강제흡입으로 작은 기준틀에 분말을 채울 수 있으므로 높은 분해능이 가능하고 중력에 의한 자연 스크래핑으로 분말 낌 현상으로 발생하는 마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높은 수명을 기대 할 수 있음

 

상품화

플라즈마 버너를 활용한 디젤매연저감장치

-­ 기존의 버너로 디젤연료를 연소하기 위해서는 4단계 즉, 연료의 미립화, 증발, 공기와의 혼합 및 점화 단계를 거치게 되나, 플라즈마 버너에서는 이 모든 단계를 one step에서 달성하기 때문에 버너의 부피가 일반 디젤버너 대비 1/10~1/100에 불과하고, 플라즈마 버너의 형상도 매우 단순하여 다양한 차종에 동일한 형상의 버너를 사용
­- 플라즈마 버너는 mis-firing의 가능성이 없어 차량에 활용하기에 안전한 기술

 

파일럿

코안다 효과의 노즐이 적용된 고온 FGR을 이용한 저공해 연소기술

공기노즐과 벤튜리 혼합관을 가지는 연소로에서 NOx와 CO의 저감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코안다 효과를 가지는 노즐을 제작하여 연소가스의 유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음

 

파일럿

기존 액체 urea SCR 시스템 대비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고체 암모늄 SCR 시스템

- 고체암모늄 시스템은 반응기를 가열하여 암모니아로 열분해시켜, 레귤레이터와 도징밸브로 분사하는 시스템이므로 액체 urea SCR 시스템 대비 가격적으로 매우 유리함
­- 액체 urea보다 고체암모늄은 암모니아 저장능력이 3배 크므로 환원제 저장용기 용량을 약 2∼3배 축소 할 수 있음
- 액체분사가 아닌 가스분사이므로 장착공간이 짧아도 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 또는 농기계 제작사의 관련 시스템 용설이계
­- 액체분사가 아닌 가스분사이므로 저온 NOx 저감성능 우수 (액체 euar는 배출가스 온도가 200℃ 미만인 경우 사용할 수 없음

 

파일럿

탄소섬유 이온화 공정을 이용한 실내용 정전여과 공기정화장치

­- 오존의 방출이 없으면서도 압력손실이 적은 전기적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처리할 수 있고, 유전체 코팅 집진판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어 다습한 환경 또는 수세정 환경에서도 안정적 운전이 가능
­- 오존 발생량이 수 ppb이하 수준으로 친환경 인증(10 ppb) 기준보다도 낮은 수치이고, 필터 사용없이 간단한 물 교체만으로 유지관리가 되고, 필터가 없어 압력손실이 낮아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도 우수

 

파일럿

정전응집형 금속필터를 이용한 디젤입자 매연여과장치

본 기술의 정전응집 금속필터 복합기술은 초미세입자를 전기적으로 포집한 뒤 금속필터에서 처리 가능한 크기로 응집 성장시켜 처리함으로써 금속필터의 장점을 활용하면서도 초미세입자의 수농도 규제에 대응 가능한 기술임

 

파일럿

기존 피스톤 펌프 대비 효율을 3퍼센트 이상 개선시킨 소형 고압 방사형 피스톤 펌프

­- (피스톤의 구름운동) 피스톤 단부에 볼을 부착하여 캠링의 표면과 맞닿을 때 볼이 캠링의 표면에서 구름운동 함으로써 피스톤 표면이 평면일 때보다 접촉부 마찰이 50퍼센트 이상 감소함
­- (단일 밸브 유니트) 흡입과 배출(토출) 제어를 위하여 다수의 실린더에 각각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대신 하나의 밸브 유니트로 흡입 및 배출(토출)을 제어할 수 있는 구면 밸브 플레이트 또는 원통형 회전밸브로 대체하여 소형화 구현

 

상품화

전자식 배관 스케일 제거 장치

­- 배관 내부에 코일을 설치하여 코일에 전류를 흘려줌으로서 전자파에 의해 배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
­- 유도코일과 전력공급부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간편한 구성

 

상품화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 집진판의 표면에 하전된 오일 미스트를 포진되도록 하고, 포집된 오일 미스트가 집진판의 표면에서 응집 및 성장되게 하여 하중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여, 집진판의 표면에 오일 미스트가 고착되지 않아 별도의 세정이 불필요
­- 오일 미스트를 1차적으로 하전하여 회전날개부를 통해 처리하고, 협소한 공간에 전기장에 발생시켜 회전날개부를 통해 처리되지 못한 오일 미스트를 2차적으로 하전하여 처리하여, 오일 미스트의 제거효율을 향상
­- 전기적으로 하전시켜 미세한 오일 미스트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효율이 높고 압력손실도 매우 적음

 

파일럿

고마력 유압식 무단변속기

약 10~25 퍼센트의 연료절감에 효과, 저속에서 기동력이 우수하고 변속충격이 거의 없으며 엔진의 최적 연비영역의 운전조건과 연동함으로써 엔진의 연비향상 및 배기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음.

 

파일럿

롤투롤 핫엠보싱 공정을 위한 유도가열 방식 히팅롤

독창적인 열교환 배열과 ORC 시스템 최적화로 시스템 구성이 간단한 Single-Loop 방식으로 동일한 조건과 가정에서 기존 Dual-Loop 방식에 거의 근접하거나 오히려 능가하는 (출력 5.7 kW) 시스템 구성

 

실험실

Fe-Al 자왜소재 적용 초음파진동자 제조기술

Fe-Al 자왜 판재: 타 자왜 소재에 비해 장시간 사용시 발열량 적고, 고온 안정성 우수한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상품화

폭기식 인공습지 시스템을 이용한  오, 폐수 고도 처리 방법

폭기식 인공습지 시스템을 이용한 오, 폐수 고도 처리 방법에 관한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교통안전 및 보안 서비스 지원을 위한 레이저 스캐너

레이저 빔이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거리에 따라 비례하는 비행시간법(Time-of-flight) 원리를 이용한 거리측정 센서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상대 거리측정 센서를 사용한 무인 편대비행 시스템

쳐프 대역확산방식 기반의 실내 위치 추적 센서로, 방해 전파에 대해 내구성이 뛰어난 CSS (Chirp spread spectrum) 기반으로 무선 신호의 전파 지연 시간을 (Time of Arrival)을 이용한 거리측정 센서를 사용한 무인 편대비행 시스템 (오차 1~3 m)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원격 수술을 위한 수술용 로봇

의사의 손 동작을 수술용 로봇에 구현하여, 의사 대신 로봇이 실제 수술을 수행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유도용액 상(相) 분리 공정과 막 공정을 결합한 정삼투 연속공정 기술 개발

정삼투 공정의 유도용액 연속적 분리 및 회수공정을 개발하고 이를 막 공정과 연계하여 정삼투 연속공정 시스템 개발함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마그네슘 산화아연 기반 다층구조 투명전극의 양산기술

상온 공정이 가능하여 유연성 기판 상에서도 면저항 10 Ω/sq 이하, 투과도 85% 이상의 투명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서, 마그네슘 산화아연 박막에 금속층을 삽입한 다층구조 투명전극의 제작 방법에 관련된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역삼투 분리막 내부모듈 배열 최적화를 이용하는 해수담수화 방법

수치모델링 방법을 통해 체적유량의 불균형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담수생산량을 극대화 시키고, 고품질의 담수를 생산할 수 있는 모듈 조합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CNT 투명 전극

전기전도도 및 가시광선 투과도가 우수한 투명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 카르복실기가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이용하여 공유결합에 의한 다층막 형태를 가지는 고순도이면서 고밀도 CNT 필름의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형성된 투명전극의 제조에 관한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안정하고 투명한 양방향 원격제어 기술

힘 반향 양방향 원격제어 기술은 아래 개념도와 같이 조작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로봇을 조작함으로써 조작자가 현장에서 직접 작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냄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수질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질측정 방법

검사대상의 물을 흡입하고 목적하는 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지시약과 반응시켜 물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을 동시에 검출 할 수 있는 수질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유체다리 열 스위치

유체다리의 정밀한 부피 조절을 통해 고온부의 온도를 제어 및 냉각하는 스마트 냉각 시스템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차선변경을 도와주는 방법 및 시스템

두 대 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스테레오 비전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뒷차량과의 거리와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변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실험실

강건한 로봇-환경 상호작용을 위한 적응 에너지 제한 알고리즘

기존의 에너지 제한 알고리즘을 가상 환경뿐만 아니라 실제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접촉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환경에 대해서도 기존 임피던스 제어 로봇시스템의 수정 없이 강건한 접촉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음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

파일럿

로봇의 감정표현 장치 및 방법

로봇의 얼굴을 LCD 모니터로 구성하고, 로봇의 감정을 LCD모니터에 표시되는 얼굴 표정을 통해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로 로봇의 감정을 로봇의 몸체 또는 양팔의 동작을 통해 표현하는 기술

기술실시권(전용), 기술실시권(통산), 공동연구